[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계층 모델
※ 개인적인 공부를 통해 작성한 글이며, 실제 학문적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1. 계층화를 하는 이유
대표적인 네트워크 계층 이론으로는 OSI 7계층 모델과 TCP/IP 모델(5계층)이 있습니다.
이렇게 계층으로 나누는 이유는 각 기능, 목적별로 구성을 달리하여 각 계층에서 사용하는 장비, 프로그램의 Spec이 변해도 특정 계층만 변경하면 됨으로써 다른 계층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OSI 7계층 모델은 이론적인 모형이고, 실제로 우리가 쓰는 인터넷은 TCP/IP모델에 가깝습니다.
2. TCP/IP 모델
5 |
응용 계층 |
4 |
전송 계층 |
3 |
네트워크 계층 |
2 |
데이터 링크 계층 |
1 |
물리 계층 |
<표1> TCP/IP 모델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합쳐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물리 계층은 데이터 전송 속도, 선로 구성, 토폴로지(Topology) 등과 관련되어 있고, 말 그대로 물리적인 구성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메세지 포맷과 헤더, 필드 등을 구성하며, 에러제어, 흐름제어, 접근제어를 하는 계층입니다.
에러제어 : 전송간에 에러가 발생하는지 확인
흐름제어 : 노드와 노드 간의 흐름을 제어
접근제어 : 신호가 동시에 접근할 시 처리
네트워크 계층은 라우팅을 하는 곳입니다. 라우팅이란 신호를 어느 경로를 통해서 보낼지 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잘 아는 IP 주소가 나오게 됩니다.
전송 계층은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고, 메세지 segment의 분할 및 조립에 관여합니다. TCP/UDP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합니다.
응용 계층은 잘 아시는 것처럼 일반적인 프로토콜이 위치하는 단입니다. 80 포트를 이용하는 HTTP, 파일 전송 FTP, 메일 SMTP 등이 있습니다.
3. OSI 7계층 모델
앞서 5계층 모델에서 겹치는 부분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7 |
응용 계층 |
6 |
표현 계층 |
5 |
세션 계층 |
4 |
전송 계층 |
3 |
네트워크 계층 |
2 |
데이터 링크 계층 |
1 |
물리 계층 |
표현 계층은 응용 프로세스 간의 데이터가 오갈 때 인코딩과 관련한 작업을 처리하는 계층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브릿지 또는 스위치에 의해 MAC 주소가 부여됩니다.
'WEB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기초] 스위칭(Switching) (0) | 2019.10.03 |
---|---|
[Eclipse] 파일명 변경시 인식 문제 (0) | 2019.07.11 |